'욕망'에 스러지는 마을...'사슴섬'이 아프다 > 여행정보/여행기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마을 Youtube Channel

여행정보/여행기

  • HOME
  • 지혜의 향기
  • 여행정보/여행기

  ☞ 舊. 여행지안내

     

여행정보 및 여행기를 올리는 공간입니다

'욕망'에 스러지는 마을...'사슴섬'이 아프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ofile_image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3건 조회 1,060회 작성일 18-02-03 00:01

본문



'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전문영상시방 '씨앗'영상작가님 作

한센인 가옥 무너져 가는 소록도
'욕망'에 스러지는 마을...'사슴섬'이 아프다
출처:http://www.munhwa.com/travel/html/tr_322.html



소록도의 숲길에서 마주친 당당한 뿔을 가진 수사슴. 
소록도에 풀어놓은 사슴이 마구 번식하면서 생태를 훼손하고 있어 골칫거리가 
됐다지만, 그게 사슴의 잘못인 건 아니다. 자그마한 인기척에도 
생고무처럼 튀는 소록도의 야생 사슴은 가슴을 두근거리게 하기에 충분했다.

전남 고흥의 소록도. 
소록도에 가면 늘 부끄럽습니다. 한센병 환자를 격리했던 이 섬은 한때 최소한의 
인권도 지켜지지 않았던 곳입니다. 소록도의 한센병 박물관 전시실 한쪽에 이런 
문장이 쓰여 있더군요. “모두 다 모두가 다 이름 있는 모든 것들이다.” 그렇습니다. 
이 섬에는 ‘모두 다 이름이 없었던’ 길고 긴 시간이 있었습니다. 

소록도에 한센병 환자 격리가 시작된 지 101년. 
섬에서는 그 시간의 기억이 빠르게 지워져 가고 있습니다. 소록도의 한센병 환자들이 
노환으로 세상을 뜨면서 집이 비워지고 마을이 빠르게 사라져 가고 있습니다. 
마을이 비워지자마자 나무뿌리는 집을 감아 지붕을 허물어버리고 벽체를 쓰러뜨렸으며, 
금세 자란 풀들은 아예 길을 지워버렸습니다. 

그렇게 폐허가 된 자리를 불량스럽게 기웃거리고 있는 건 개발에 대한 욕망입니다. 
환자들이 떠나고 난 뒤에 기억을 싹 쓸어내 버리고, 근사한 리조트나 해양 케이블카 
따위를 놓아서 관광객들을 불러들이겠다는 속셈이겠지요.


▲ 소록도 주민이 줄면서 비워진 집들이 무너지고 마을이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나무가 자라며 집과 함께 기억을 먹어치우고 있는 형국이다.
그렇다면 혹시 ‘미필적 고의’는 아닐는지요. 소록도에서 기억의 소멸은
 ‘그냥 놓아두어서’ 그런 것이지만, 우리는 소록도의 부끄러웠던 기억을 그렇게 
지워버리고 싶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렇다면 우리 모두가 공범일지도 모릅니다. 

우리가 한센병 환자들을 격리해 섬으로 몰아넣고는 단종수술을 하고, 독방에 가두고,
 제 자식마저 마음대로 만날 수 없도록 했던 시절을 만들었던 공범이었던 것처럼 
말입니다. 그렇게 섬의 마을과 집들이 다 사라지고, 기억마저 모두 휘발되고 나면 
우리는 과연 자유로워질 수 있을까요. 

소록도의 기억을 지키고자 온몸으로 힘겹게 버티고 있는 노 건축가는 
‘절대로 그렇지 않다’고 단언했습니다. 공공건축의 대가로 꼽히는 건축가 조성룡. 
재활용 생태공원 선유도 공원과 어린이 대공원 꿈 마루도, 광주의 의재미술관과 
홍성의 이응노 기념관도 그의 건축입니다. 칠순을 넘긴 그는 필생의 마지막 작업을 
‘소록도의 마을과 집을 지켜내는 일’로 삼았습니다. 뜻밖에도 ‘짓는 일’이 아니라 
‘지키는’ 것으로 건축가의 마지막 소임을 다하겠다는 얘기입니다. 

그는 지금 조급합니다. 빈 마을에서는 지금도 하루하루 거대한 나무뿌리가 집을 
먹어치워 버리고 있고, 포클레인의 삽날에 일제강점기부터 있었다던 간장 공장이 
허물어지고 있으니 말입니다. 그래서 그는 수시로 소록도를 오가며 사라진 마을의 
무너져가는 담벼락이 더는 허물어지지 않도록 강관 비계를 대고, 건물 기둥을 감은 
나무뿌리를 쳐냈으며 풀숲에 묻힌 길을 다듬었습니다. 무너지지 않게 지지대를 
세운 채 ‘놓아두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이곳은 누구도 
섣불리 손을 댈 수 없다’고 했습니다. 그 말이 금방 수긍이 됐던 건 폐허가 된 마을에 
섰을 때 느껴졌던, 그곳을 지나간 삶에서 전해지는 묵직한 존재감 때문이었습니다. 

소록도에는 육지와 격리된 마을이 있고, 집이 있고, 모질었던 세월을 살아낸 
사람들의 시간이 있습니다. 그 시간을 지키자는 게 어찌 의미 있는 건축물 몇 개를 
남기자는 것뿐이겠습니까. 소록도 안에 어떤 마을이 있었고, 어떤 집이 있었으며 
그곳에서 그들의 삶이 어떠했는지를 남긴다는 것은 ‘모든 것’에 ‘이름’을 부여해서 
모든 것들이 ‘이름 있는 모든 것’이라는 걸 증명하는 일과 다름없습니다.

밥도 떠먹기 힘들 정도로 오그라든 손으로 한 장 한 장 만든 벽돌로 지은 집들을 
지킨다는 건 소록도의 역사를 지키는 일이기도 합니다. 이렇게 소록도의 마을을 
지킬 수만 있다면 소록도는 ‘야만의 시간’이 가져온 절망과 고통을 들여다볼 수 
있는 곳이 되고, 공범이었던 우리들의 사죄를 담는 공간이 될 겁니다. 
진정한 용서란 이렇게 구하는 것이지요. 공감하고, 또 감동하면서 말입니다. 


소록도에서 가장 먼저 사라진 마을 서생리의 모습. 
조성룡 성균건축도시설계원 교수는 나무와 풀로 뒤덮여 건축물의 흔적도 찾기 어려웠던 
이곳에서 연구원들과 함께 무너진 집을 철제 비계로 받치고, 담을 밀어붙이는 나무뿌리를 
잘라내 ‘더는 무너지지 않게’ 만들어놓았다.


# 사라지게 놔둬서는 안 되는 것들

우선 소록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부터.
한센병 환자들이 모여 사는 소록도는 서울 여의도 크기의 1.3배 남짓한 작은 섬이다. 
섬 한가운데 잘록한 목에 들어선 국립소록도병원을 중심으로 섬 왼쪽은 병사(病舍)구역, 
그러니까 한센병 환자들이 모여 사는 지역이고, 
오른쪽은 병원 직원들이 거주하는 관사구역이다. 
소록도에 거주하는 한센병 환자는 500명 남짓. 
병원 직원과 직원 가족 200여 명을 합하면 700명 정도가 소록도에 산다. 

고흥 녹동에서 소록도까지 연륙교가 놓이고, 소록도가 관광객들에게 개방됐다지만, 
사실 공개된 구간은 병원 인근에 있는 중앙공원과 주변의 건물 몇 동, 
그리고 한센병 박물관까지가 고작이다. 섬의 다른 지역은 외부인들의 출입이 엄격하게 
통제된다. 우리가 소록도의 진짜 모습을 잘 모르는 것도, 섬 안에서 마을과 집들이 
빠르게 사라져 가고 있음을 눈치채지 못한 것도 이 때문이다.

소록도에 격리된 한센병 환자들은 병원의 병실에 수용된 것이 아니라, 
주로 공동 주택에서 살았다. 과거 한센병을 두고 ‘천형’이라고 불렀지만, 사실 이 병은 
피부병의 일종일 뿐, 병 자체가 생명을 위협하지는 않는다. 증세가 극히 심한 환자가 
아니라면 대부분 공동 주택에 살면서 마을 단위로 생활했다. 환자들에게 섬은
 ‘거대한 병실’이 아니라, 소외된 가장 낮은 이들이 모여서 살았던, 그리고 지금도 
여전히 살고 있는 생활 공간이라는 얘기다.

소록도는 본래 섬에 살던 주민들을 다 몰아낸 뒤에 
한센병 환자 격리시설로 조성한 섬이라서 그런지 마을 이름부터가 대충 대충이다. 
동쪽에 있다고 동생리, 서쪽에 있으니 서생리, 남쪽은 남생리…. 뭐 이런 식이다.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소록도에는 9개 마을이 있었다. 한때 섬에 사는 주민들만 
6000명을 헤아리던 때도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환자가 크게 줄면서 마을 두 곳이 
사라지고 7개 마을만 남았다. 남은 마을도 폐가와 공가가 늘고 있다. 
이런 속도라면 다른 마을도 하나둘 사라지고 말게 되리라. 
이렇게 집이 한 채 한 채 사라지면…, 기억도 곧 지워진다. 

# 시간의 버팀목을 든든하게 세우다


▲ 마을과 마을을 잇는 신작로에 세워둔 ‘순바구길’ 비석. 
팔을 걷고 이 길을 만들었던 한센인 박순암을 기리는 비석이다.
소록도에서 가장 먼저 사라진 마을이 서생리다. 
일제강점기 때 소록도를 한센병 환자 수용시설로 쓰기로 한 뒤 자혜의원을 세우면서 
마을이 만들어졌다. 이후 3번에 걸친 소록도 확장공사 과정에서 병원과 함께 섬의 
중심이 옮아갔고, 결국 1980년대 중반 주민들이 떠나면서 마을은 비워졌다. 
비워진 마을을 금세 나무와 풀이 뒤덮었다. 지붕은 무너졌고 벽은 쓰러졌다. 
소록도 역사가 시작된 공간이 속절없이 한순간에 사라지게 된 것이다. 

노 건축가인 조성룡 성균건축도시설계원 교수는 연구원과 함께 무너지려는 
서생리의 집과 마을을 안간힘을 써서 붙들고 있다. 폐허처럼 남아 있는 독특한 
건축양식의 건물 외벽에다 쇠파이프로 비계를 지어 받쳤으며 나무뿌리가 헤집어 
넘어지기 직전이었던 축사의 블록 담벼락을 쇠파이프로 지탱했다. 우드칩을 깔아 
동선을 만들고 안내판을 세운 것 말고 새로 짓거나 들여놓은 건 하나도 없었다. 
더 무너지지 않게 하는 것. 오로지 그것만이 건축가의 목표였다. 무너진 벽의 
벽돌 한 장도 환자들이 오그라든 손으로 굽고, 쌓았을 것을 생각하면 버릴 수 없었다. 

더 무너지지 않게 받쳐두기만 했으되 공간은 매력적이었다. 
허물어진 건물의 사라진 벽을 시간과 역사가 충분히 대체했다. 
형체를 잃어가는 것들이 오히려 보이는 것 너머를 보게 했다. 
누가 이 벽돌을 찍어냈을까, 여기는 어떤 공간이었을까, 여기서는 누가 살았을까…. 
마을 바로 앞 넘실거리는 파도 소리를 들으면서 그들은 과연 어떤 생각을 했을까. 

이 공간은 어떻게 지켜져야 할까. 
소록도를 다녀온 뒤에 만난 조 교수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나도 잘 모르겠다”고 
고개를 저었다. 건축으로 일가를 이룬 노 건축가는 연신 ‘모른다’는 말만 되풀이했다. 
그리고 그는 ‘의견을 모아야 한다’고 했다. 더 무너지고 사라져서 되돌릴 수 없는 상황이 
되기 전에 말이다. 하지만 무너지고 사라지는 걸 지켜내는 일에 세상은 관심이 없다. 
관심이 없으니 돈을 대는 이들도 없다. 그나마 국립소록도병원이 병원 유지관리비를 
지원하며 애를 쓰고 있지만 그걸로는 역부족이다. 

더 큰 문제는 지방자치단체가 문화재 보수랍시고 마구잡이로 공사를 벌이는 일이다. 
지방문화재로 지정된 자혜의원은 복원을 한다며 반들반들한 시골 역 대합실처럼 
바꿔놓았고 소록도의 신사 건물도 국적불명의 건축물로 만들고 말았다. 
기가 막히다 못해 분노까지 치밀 일이다. 

# 출입 통제지역 곳곳에서 만난 풍경


▲ 40여 년 동안 소록도의 환자들과 함께하다 고향 오스트리아로 돌아간 간호사 
마가렛 피사렉의 방 창호 문에 뜻밖에도 ‘하심(下心)’이란 불교 용어의 글씨가 있었다. 
하심은 불가에서 ‘자신을 낮추고 남을 높이는 마음’을 뜻한다. 

서생리 마을은 병사구역에 있어서 일반인들이 들어가 볼 수 없다. 
종교단체나 봉사활동단체는 절차를 거쳐 출입이 허용되긴 하지만 관광객들에게는 
굳게 문을 닫아 걸었다. 박형철 국립소록도병원장은 “앞으로 제한된 소수의 인원만 
예약을 받아 서생리와 사라진 일부 마을을 공개하는 방안을 강구 중”이라고 했다. 
쉬운 일은 아니다. 그러자면 우선 병사구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이해가 필수적이다. 
소록도 주민들은 하나같이 고개를 저었다. 관광객들이 마을까지 들어와 자신의 거처를 
기웃거리는 게 마뜩잖은 눈치였다. 
박 원장은 개방 시기에 대해서 ‘천천히 시간을 두고서…’를 강조했다. 

발을 들일 수 없는 통제구역임에도 소록도의 병사구역 얘기를 하는 건 섬 안에 무엇이 
있는 줄 알아야 그걸 왜 지켜야 하는지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소록도 병사구역에서 
인상적이었던 것 중 하나가 마을과 마을을 잇는 신작로에 세워진 ‘순바구길’ 비석이었다. 

해방 후 소록도에는 주민들이 스스로 조직한 ‘건설대’라는 조직이 있었다. 
비교적 건강한 환자들로 구성된 건설대는 섬 안에 길을 놓거나 공원을 만드는 등 
거친 일을 했다. 비석은 50년 동안 건설대로 일했던 ‘박순암’을 기리기 위해 세운 것이다. 

이름의 바위 암(岩)자를 ‘바구(바위)’로 풀어 ‘순바구’란 아명으로 신작로의 길 이름을 
삼고서 비석을 세웠다. 소록도 안에 환자들의 피와 땀, 살과 뼈를 깎아 만들지 않은 게 
어디 있을까. 소록도에 살면서 누구보다 더 열심히 일했던 박순암은 어떤 사람이었을까. 
길 이름이 된 그의 이름과 마주치는 순간 ‘한센병 환자’라는 익명으로 뭉뚱그려진 
섬 주민들이 모두 하나의 개인으로 호명되는 느낌이었다.

관사구역에는 
한국으로 건너와 소록도에서 한센병 환자를 돌보며 40년 넘게 생활하다가 
지난 2005년 자신의 병이 깊어지자 편지 한 장 남기고 조용히 고향으로 돌아간 
오스트리아 출신의 간호사 마리안느 스퇴거(83)와 마가렛 피사렉(82)의 사택도 있다. 

두 간호사가 소록도에서 얼마나 소박한 생활을 했는지는 앉은뱅이 책상 하나 덜렁 
놓여 있는 방을 보면 짐작이 가고도 남는다. 따스한 가을 오후의 햇살이 드는 
피사렉 수녀 방의 창호 문에는 뜻밖에도 붓글씨로 ‘하심(下心)’이란 글귀가 붙어 있었다. 
하심이란 ‘자기 자신을 낮추고 남을 높이는 마음’을 이르는 불가의 용어. 
그 글귀에서 종교를 넘어선 숭고한 마음을 읽는다. 

소록도에서는 남생리 뒤쪽의 언덕 위에 벽돌로 지어 올린 등대도, 
영화세트장에서 가져다 놓은 것 같은 남생리 사무소도, 
바다에 한쪽 다리를 담그고 있는 동생리의 이국적인 식량창고도, 구
북리에서 마주친 쓰러진 팽나무 거목의 고래 뼈 같은 잔해도, 
바다를 정원 삼은 순백의 성당도 모두 마음을 움직이는 풍경이다. 

그리고 하나 더. 
소록도에는 사슴이 많다. 작은 사슴을 뜻하는 ‘소록’이라는 섬 이름에 걸맞다며 
경기 이천의 한 농장에서 병원에 사슴을 기증한 것이 시작이었다. 
별 생각없이 섬에 방목한 사슴이 마구 불어나서 지금 200여 마리에 이른다. 
사슴은 지금 소록도의 생태를 해치는 최고의 골칫거리가 돼버렸다. 

소록도에 머무는 한나절 동안 섬의 은밀한 숲 속에서 수시로 사슴과 마주쳤다. 
숨소리를 죽이며 숲길을 가다 펄펄 뛰는 야생의 사슴과 눈이 딱 마주칠 때마다 
가슴이 떨렸다. 섬의 골칫거리라고는 했지만, 이렇게 된 게 어디 사슴 잘못일까. 
섬 안의 깊은 숲에서 마주친 암사슴의 맑은 눈망울과 
수사슴의 겨누는 당당한 뿔은 충분히 감동적이었다.

# 소록도 지금 가도 볼 수 있는 것들


▲ 폐허가 된 서생마을의 서성교회. 
소록도에서 가장 아름다운 교회다. 그래서일까. 
마을은 사라졌어도 이웃 마을 주민들이 이 교회를 손봐서 쓰겠다고 했다. 

지금까지 이야기가 통제되고 닫힌 곳에 대한 것이었다면 덧붙이는 건 소록도에 가면 
언제든 볼 수 있는 것들이다. 소록대교를 건너 섬으로 건너가면 가장 먼저 닿는 곳이 
주차장이다. 주차장 한복판에 뜬금없이 붉은 벽돌로 지은 병사건물 한 동이 서 있다. 
소록대교 개통으로 방문객주차장을 만들면서 통째로 사라진 마을에서 딱 하나 남은 
건물이다. 건물은 쓰레기더미처럼 폐허로 남아 있다가 
지난해 국립소록도병원 100주년 기념시설물이 됐다. 

본래 소록도병원은 100주년 기념비를 세울 요량이었다. 
그러나 제안을 받아든 조 교수는 ‘돌덩이 기념비 대신 폐허가 된 병사를 간수해 
기념물로 삼자’고 제안해 만들어진 게 이 기념시설물이었다. 
1970년대까지 병사로 사용하던 공간은 뼈대를 건드리지 않은 채 다듬어져 
이렇게 기억과 감성의 공간으로 재탄생한 것이다. 

주차장에서 병사구역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마주치는 것이 바다와 나란한 소나무길이다.
빼어난 경관에 어울리지 않게 이 곳은 수심과 탄식이 깃든 곳이라는 뜻의 
‘수탄장(愁嘆場)’이라 불린다. 

소록도의 한센인들은 가족과 자식을 이곳에서 만났다. 
감염의 우려 때문에 가족과 함께 살 수 없었던 이들은 한 달에 딱 한 번, 
길 이쪽에 늘어서서 길 저쪽의 가족을 바라보았다. 
자식의 손을 잡을 수도, 머리를 쓰다듬을 수도 없었다. 
철조망이 있었다고 했지만, 그게 없어도 어떤 병든 부모가 자기 자식을 
만질 수 있었을 것인가. 한센인 부모는 바람을 안고서야 아이들과 마주했다. 
행여나 바람에 병균이 자식 쪽으로 날아갈까 싶어서였다. 

한센병박물관 한쪽의 전시실에 
소록도에 거주하고 있는 환자가 기증한 명주 저고리와 바지가 걸려 있다. 
환자의 어머니가 아들 결혼을 위해 정성껏 누에를 치고 바느질해 지은 결혼예복이었다. 
그러나 결혼 1년 만에 아들은 병에 걸렸다. 
아내는 떠났고 아들은 가족을 위해 고향을 떠나 소록도로 혼자 들어왔다. 
홀로 남은 어머니는 얼마나 아들이 그리웠을까. 
어머니는 명주 누비 바지저고리를 가지고 소록도로 와서 아들에게 전해주었다. 
그게 아들이 본 어머니의 마지막이었다. 
섬을 나갈 수 없었던 아들은 어머니 임종도 지키지 못했다. 
박물관에 걸린 저고리와 바지는 그날 어머니가 전해준 것이었다. 

소록도 안에 이런 이야기들이 어디 하나둘일까. 
우리가 기억해야 할 수많은 이야기들이 그 섬에 있다. 
소록도를 지금의 모습으로 지켜내야 하는 이유다. 다시 말하지만 ‘집이 사라지면 기억도 사라진다’.
그리고 진정한 화해란 과거를 잊지 않고 기억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 목재문화체험장 한옥 숙소 추천

소록도 가는 길 = 소록도는 고흥의 서쪽 끝 녹동항에서 소록대교로 이어져 있다. 
수도권에서 가자면 호남고속도로 익산 갈림목에서 익산∼장수 간 고속도로로 
갈아탄 뒤 완주에서 다시 완주∼순천 간 고속도로로 갈아탄다. 동순천IC로 나와서 
남해 고속도로로 다시 갈아타고 고흥나들목에서 나온다. 여기서 15번 국도를 타고 
고흥군청까지 가서 다시 27번 국도로 갈아타면 소록도까지 길이 이어진다. 

어디서 묵고 무엇을 맛볼까 
= 고흥의 유일한 호텔이 발포의 빅토리아호텔(061-832-3711)이다. 
마복산 아래 포두면 목재문화체험장(061-830-5123)의 전통한옥체험 숙소와 
거금도의 거금도한옥민박(061-282-5327)도 추천할 만하다. 
녹동항 근처 생선구이백반을 내는 정다운식당(061-843-0217)과 통장어탕으로 
이름난 득량식당(061-840-2082)이 있다. 
전복과 조개를 수북하게 넣어 끓여낸 짬뽕을 내놓는 일성식당(061-834-7061)도 가볼 만하다.



소록도(고흥)=글·사진 박경일 기자
parking@munhwa.com 
게재 일자 : 2017년 9월 20일 수요일


재구성:
찬란한 빛/김영희
추천0

댓글목록

찬란한빛e님의 댓글

profile_image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아직도 가보지 못한 소록도,
인터넷기행을 통해서 자세히 알게 되었습니다.
많은 생각을 하게 되는 군요.
읽기쉽게 재 구성해서 옮겨놓았습니다.
밖 외출은 아직, 몸조리중 이렇게 유익한 시간을 보내고 있다지요.
'씨앗'영상작가님의 멋진 작품도 감상하시며 고운밤 보내세요.

안박사님의 댓글

profile_image 안박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찬란한빛`김영희* 作家님!!!
"김영희"任! 참으로,오랫晩에~人事를,드립니다`如..
"찬란한빛"任의,作品은~뒤`늦게라도,빠짐없이 探讀을..
 넘치는 手苦로움으로,엮어주신~精誠을 生覺하며,正讀을..
"송파구`詩朗誦,유관순`遺跡地,시베리아`Vikal湖,小鹿島"등..
 詳細히,說明주시는~作家님 解說에,感動으로 感謝`드리오며..
 手術로不便하신,貴體의~빠른 回復을,眞心으로 祈願드립니다..
"김영희"作家님! 朗誦家님! 旅行家님! 舞踊家님! 늘,康`寧하세要!^*^

찬란한빛e님의 댓글

profile_image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안박사님 반갑게 뵙습니다.
그간 올린 게시물 다 보셨군요.
이렇게 보셨단 말씀 주시니 더 기운이 살아나네요.
잊지 않으시고 보내주시는 아낌없는 격려에 무척이나 감사해 한답니다.
이제 춘삼월도 한달밖에 남지 않았네요.
또 새봄에 희망을 걸어보며 잘 살아가야지요.
늘 좋은 날이길 빕니다.

Total 874건 1 페이지
여행정보/여행기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날짜
874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5 1 03-14
873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 1 03-12
872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8 1 02-28
871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4 1 02-19
870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 1 02-17
869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7 1 02-15
868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4 1 02-14
867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 1 02-11
866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 1 02-08
865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 1 02-06
864 아름다운Lif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0 1 01-28
863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8 1 01-21
862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5 1 01-18
861 아름다운Lif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2 1 01-15
860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 1 01-02
859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5 1 12-29
858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 1 12-24
857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 1 12-22
856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 1 12-18
855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 1 12-16
854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 1 12-14
853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2 1 12-10
852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8 1 12-07
851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6 1 12-05
850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 1 12-03
849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3 1 11-29
848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4 1 11-24
847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8 1 11-19
846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7 1 11-19
845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4 1 11-17
844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 1 11-12
843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7 1 11-11
842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5 1 11-10
841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86 1 11-08
840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9 1 11-07
839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 1 11-05
838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 1 11-04
837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4 1 11-03
836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 1 11-02
835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 1 11-01
834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4 1 10-29
833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6 1 10-28
832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2 1 10-27
831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 1 10-25
830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7 1 10-25
829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5 1 10-23
828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5 1 10-22
827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2 1 10-20
826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4 1 10-19
825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 1 10-18
게시물 검색

  • 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 (07328)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0 여의도우체국 사서함 645호
  • 관리자이메일 feelpoem@gmail.com
Copyright by FEELPOEM 2001. All Rights Reserved.